이 글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할 때의 과정을 다룹니다.
아날로그 신호 (ADC)-> 디지털 데이터 (digital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 (analog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 (고대역)
1.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를 변환합니다.
이걸 왜 하는가?
-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영하여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주파수가 높아져 안테나 길이와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대역폭을 증가시켜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전송에서 정보 신호의 기본이 되는 고주파 신호를 반송파 신호(carrier signal)라고 합니다.
1-1. 진폭 편이 변조 (ASK)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1-2. 주파수 편이 변조 (FSK)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1-3. 위상 편이 변조 (PSK)
반송파의 위상을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2진 PSK, 직교 PSK 등이 있습니다.
1-4. 직교 진폭 변조 (QAM)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2. 아날로그 대 아날로그 변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2-1. 진폭 변조 (AM, 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이 바뀌는 방식입니다.
2-2. 주파수 변조 (FM, Frequency Modulation)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가 바뀌는 방식입니다.
2-3. 위상 변조 (PM, Phase Modulation)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바뀌는 형식입니다.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물리 계층 - 디지털 전송 (0) | 2025.04.22 |
---|---|
[데이터 통신] 물리 계층 (0) | 2025.04.22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모델 (0) | 2025.04.18 |
[데이터 통신]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0) | 2025.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