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

[데이터 통신] 물리 계층 - 아날로그 전송 이 글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할 때의 과정을 다룹니다. 아날로그 신호 (ADC)-> 디지털 데이터 (digital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 (analog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 (고대역) 1.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를 변환합니다.이걸 왜 하는가?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영하여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주파수가 높아져 안테나 길이와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대역폭을 증가시켜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아날로그 전송에서 정보 신호의 기본이 되는 고주파 신호를 반송파 신호(carrier signal)라고 합니다. 1-1. 진폭 편이 변조 (ASK)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1-2. 주파수 편이 변조 (.. 2025. 4. 22.
[데이터 통신] 물리 계층 - 디지털 전송 이번 글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다룹니다. 아날로그 신호 (ADC)-> 디지털 신호 (encoding)-> 디지털 신호 과정으로 변환이 되며,최종적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게 됩니다. 1. 디지털 대 디지털 변환 디지털 데이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encoding이라고 합니다.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1. 회선 부호화(line coding)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송신자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부호화하며,수신자는 디지털 신호를 복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합니다. 신호랑 데이터를 계속 말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무엇인가데이터 요소는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개체입니다. (bit)신호.. 2025. 4. 22.
[데이터 통신] 물리 계층 이전 글에도 작성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모델은 여러 모듈로 분리하여 모듈화를 합니다.이번 글은 네트워크 모델의 계층 중 가장 낮은 계층인 물리 계층에 대해 살펴봅니다.물리층 통신은 비트(bit) 단위로 이루어집니다.또한 데이터 흐름(0과 1)은 전자기 신호 형태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데이터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아날로그 데이터와이산적인 값을 가지는 디지털 데이터가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표현하는 신호(signal)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마찬가지로,연속적인 파형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와이산적인 파형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신호나 디지털 신호에 상관없이,신호의 파형에 따라 나뉘는 특성들도 있습니다.신호에서 특정한 패턴(cycle)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주기 .. 2025. 4. 22.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는 특정한 규칙을 통해 서로 통신하게 됩니다.이러한 규칙을 정의한 것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합니다. 프로토콜은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나누어 관리하기 위해, 계층화를 통해 여러 모듈로 분할하며 각 계층을 독립적으로 설계합니다. 이를 프로토콜 계층화라고 합니다.프로토콜 계층화는 아래의 두 원칙을 따릅니다.상반되는 두 가지 작업을 수행 (말하기 / 듣기, 암호화 / 복호화, 보내기 / 받기)각 계층의 객체는 서로 동일 (평문, 암호문, 우편 등)계층 간 논리적 연결을 통해 각 계층에서 생성된 객체가 전달됩니다. 프로토콜 계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A와 B가 대화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A와 B가 만나서 대화를 합니다.둘이 정해놓은 규칙(인사, .. 2025. 4. 18.
[데이터 통신]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1. 데이터 통신 개요 전송매체를 통해 개체 간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합니다.송신자[Tx]가 수신자[Rx]에게 메시지 (데이터 등)를 전송하게 됩니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경로를 전송 매체라고 하며,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2. 데이터 통신 방식 데이터 통신은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방향은 한 쪽으로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주로 TV, 라디오 등의 매체를 말합니다. 반이중은 각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합니다.주로 무전기 등의 매체를 말합니다. 전이중은 동시에 데이터를 서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주로 전화 등의 매체를 말합니다. 3. 네트워크 .. 2025. 4. 17.
[논리회로] 디지털 코드 1. BCD 코드 BCD코드는 10진수를 2진수 4비트로 표현한 코드입니다.0 ~ 9를 표현하며, 2진수 0000 ~ 1001에 대응됩니다.(단, 10 ~ 15는 1010 ~ 1111에 대응되지 않습니다. 해당 2진수 범위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BCD코드는 간단히 10진수 표현을 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합니다.과거에 만들어진 시스템을 계속 작동시켜야 하는 경우 호환성을 위해 BCD코드를 계속 사용합니다. 당연히 BCD코드로 표현된 수도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다만 연산 결과 중 특정 자리수가 9를 초과하면 +6을 하여 강제로 올림수를 발생시켜야 정상적인 값이 출력됩니다. BCD코드 + 3을 하면 3증수 코드가 되는데,0 9, 1 8... 의 자기 보수 관계가 형성됩니다. 이 외에도 다.. 2025. 4. 17.
[논리회로] 수의 체계 1. 진법과 진수 r진법은 0부터 r-1까지의 수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진수는 진법으로 나타낸 수를 의미하며, r진수는 r진법으로 나타낸 수가 됩니다. 2. 진법 변환 n진수에서 r진수로 변환을 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정수: r로 나누기 (나머지가 0이 될 때 까지)소수: r로 곱하기 (0이 될 때 까지) 3. 2진수 컴퓨터에서는 2진수 (0과 1)를 통해 수를 표현합니다. 2진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효율성 때문입니다.회로에서는 전압 범위에 따른 전압 인가가 어렵습니다.특정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계속 그 전압이 유지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이런 이유 때문에 '전압을 얼마나 인가하였는가'가 아닌 '전압을 인가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회로를 구성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5V가 인가.. 2025. 4. 16.
[논리회로] 신호의 종류와 논리 연산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아날로그 신호물리적인 값연속적인 값디지털 신호이산적인 값표본화된 값연속적인 값을 끊어서 표현한 값디지털 시스템의 장점잡음에 대한 견고성재생성경제성가변성신호의 변환A/D 변환기디지털 시스템D/A 변환기논리 연산스위치를 통해 입력모터나 모듈을 통해 출력논리적 상태True: 1False: 0논리적 연산AND (스위치 - 스위치 직렬)OR (스위치 - 스위치 병렬)NOT (스위치 - 모터 병렬)조합회로와 순차회로조합회로: 현재의 입력값만 영향을 받는 회로순차회로: 과거의 입출력 값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는 회로디지털 집적 회로규모소규모중규모대규모초대규모극초대규모패키지 모양에 따른 집적회로 분류DIPSIPSOPQFPPLCCBGA 2025. 4. 16.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 모델 -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표현 방법 이 때 DB 구조의 구성요소는, 1. 데이터 2. 관계 3. 제약조건 입니다. 데이터의 동적 측면이나 행동이 데이터 모델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ex) 평균 학점을 구할 때, 실제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연산식을 프로그래밍하여 저장 데이터 모델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개념 세계 - 개념(고수준) 데이터 모델 - E-R 데이터 모델을 사용합니다. 2. 논리 세계 - 논리적(구현, 표현) 데이터 모델 - DBMS를 사용합니다. 3. 물리적(기계) 세계 - 물리적(저수준) 데이터 모델 - 파일구조를 사용합니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DBMS)의 진화 과정입니다. 1세대 : 계층형 데이터 모델 (트리, Parent - Child 관계) - 식별자는 .. 2023. 4. 18.
[Database] 데이터베이스 개요 Database : A Collection of Integrated, Stored, Operational, Shared Data for Multiply Application Systems(Programs) of an Organization 줄여서 CISOSDaMASO 이러한 Database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고 하며, Database와 DBMS 등 모두 합쳐서 Database System이라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레코드를 대표하는 값을 식별자라고 합니다. 1, 2세대 DBMS에서는 주소(Pointer)를 식별자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추가와 삭제가 자주 일어나게 되면 해당 데이터의 위치가 바뀌어 주소값이 지속적으로 바뀌게.. 2023.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