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화학 결합4 [화학] 화학 결합 - 이온 결합력과 이온 결합 물질의 성질 이온 결합력은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에서 작용하는 정전기석 인력입니다. 이렇게 쿨롱의 법칙으로 수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F = k \frac{q_{1} \cdot q_{2}}{r^2} $$ (q1,q2 : 두 이온의 전하량 r : 두 이온 사이의 거리) 이온 결합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비교합니다. 1. 이온의 전하량이 클수록 이온 결합력이 세다. ex)NaF와 MgO를 비교 해 보겠습니다. Na의 전하량 : +1 F의 전하량 : -1 Mg의 전하량 : +2 O의 전하량 : -2 MgO가 더 전하량이 크니 더 셉니다. 2. 이온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온 결합력이 세다. 이온 반지름하고 관계가 있습니다. 이온 반지름이 작아지면, 거리도 가까워집니다. ex) 이온 사이의 거리 : LiCl < NaCl.. 2022. 10. 4. [화학] 화학 결합 - 이온 결합 형성 이온 결합은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가 결합한 것입니다. 금속 원소는 양이온이 되어서, 비금속 원소는 음이온이 되어서 결합하게 됩니다. NaCl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Na는 금속 원소입니다. 양이온이 됩니다. Cl은 비금속 원소입니다. 음이온이 됩니다. Na는 전자 1개를 잃을 시 안정하게 되고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갖습니다) Cl은 전자 1개를 얻을 시 안정하게 되고 (Ar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갖습니다) 이 두 원소가 서로 결합하게 됩니다. (이온 결합 물질은 분자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이온 결합이 형성되려면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거리가 적당히 있어야 합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A, B, C 총 세 구역이 있습니다. A 구역에서는 핵 간 거리가 너무 멀어, 인력.. 2022. 10. 4. [화학] 화학 결합 - DNA의 구조 일반적으로 DNA라는 단어를 들으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생각날 것입니다. 염기가 이중 나선 구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중 나선 구조는 유전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화학적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유전 정보의 손실이 일어난다면, 유전자 염기서열이 잘못 짝을 이루어서 돌연변이가 됩니다. 그렇기에 이중 나선 구조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DNA의 기본 단위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인산, 당 염기가 1:1:1의 비율로 결합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인산-당-염기-염기-당-인산 이렇게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염기와 염기 사이에는 수소 결합을 하는데 어떤 것이 결합하냐에 따라서 수소 결합의 수가 약간 다릅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 2022. 10. 4. [화학] 화학 결합 - 탄소의 동소체 동소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소체 - 성분 원소는 같지만 구조가 달라 성질이 다른 물질 탄소는 주기율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자가 전자가 4개이므로 다른 원자와 최대 4개의 공유결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탄소의 동소체에는 다이아몬드, 흑연, 풀러렌, 탄소 나노 튜브 등이 있습니다. 1. 다이아몬드 결합각이 109.5도를 이루고 있고 탄소 원자 4개와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그물 구조라고 하는데 그물 구조는 모든 원자들이 강하게 결합을 해서 매우 단단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흑연 결합각이 120도로 이루어져 있고 탄소 원자 3개가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원래는 탄소의 원자가전자가 4개여서 최대 4개가 공유 결합을 이루는데 다이아몬드가 아닌 것들 (흑연이나 뒤에 설명한.. 2022. 10.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