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화학의 언어3 [화학] 화학의 언어 - 몰 몰(mol)이라는 것은 원자, 분자, 이온 같이 매우 작은 단위를 세는 데 쓰는 단위입니다. 연필 1다스나 계란 1판 같은 묶음 단위입니다. 1몰의 개수는 \( 6.02\times 10^{23} \)개 이고 이것을 아보가드로 수라고 부릅니다. 2몰은 \( 2 \times 6.02\times 10^{23} \) 입니다. 모든 1몰이 \( 6.02\times 10^{23} \) 이므로, 탄소 원자 1몰이나 물 분자 1몰이나 이산화탄소 분자 1몰 모두 \( 6.02\times 10^{23} \) 입니다. 1몰의 질량은 화학식량에 g를 붙이면 됩니다. (화학식 : https://spareone.tistory.com/7) 원자량에 g을 붙이면 원자 1몰의 질량이고 분자량에 g을 붙이면 분자 1몰의 질량이 됩니다... 2022. 10. 4. [화학] 화학의 언어 - 화학식과 화학식량 화학식은, 분자식과 실험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분자식은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의 개수와 원소기호로 나타낸 식입니다. 실험식은 분자식에서 표현한 원자들의 개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입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포도당 분자식 - \( C_{6}H_{12}O_{6} \) 포도당 실험식 - \( CH_{2}O \) NaCl과 같은 공유결합이 아닌 이온결합을 하는 물질이나 (Na는 금속입니다) Fe같은 금속 물질들은 양이온, 음이온이나 원소가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은 실험식으로만 나타냅니다. (애초에 NaCl은 분자가 아닙니다.) 이제 화학식량입니다. 화학식량은 원자량, 분자량, 실험식량 이렇게 있습니다. 실제 질량값을 가져가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 2022. 10. 4. [화학] 화학의 언어 - 원소, 원자, 분자 과학을 접하게 되면 많이 듣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원소", "원자", "분자" 등... 오늘은 이러한 것들의 정의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질을 구분하면 이렇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순물질 / 혼합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순물질은 다른 물질이 섞이지 않고 1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물질입니다. 혼합물은 2가지 이상의 순물질을 섞은 것입니다. 순물질은 원소 / 화합물로 나뉘어집니다. 원소와 화합물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소 - 물질을 수정하는 기본적인 요소 화합물 - 두 종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순물질 원자와 분자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일단 원자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자 -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 다만, 원소와 원자 이 두 단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해하기에는.. 2022. 10.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