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1 [화학] 화학 결합 - 이온 결합 형성 이온 결합은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가 결합한 것입니다. 금속 원소는 양이온이 되어서, 비금속 원소는 음이온이 되어서 결합하게 됩니다. NaCl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Na는 금속 원소입니다. 양이온이 됩니다. Cl은 비금속 원소입니다. 음이온이 됩니다. Na는 전자 1개를 잃을 시 안정하게 되고 (Ne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갖습니다) Cl은 전자 1개를 얻을 시 안정하게 되고 (Ar과 같은 전자 배치를 갖습니다) 이 두 원소가 서로 결합하게 됩니다. (이온 결합 물질은 분자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이온 결합이 형성되려면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거리가 적당히 있어야 합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A, B, C 총 세 구역이 있습니다. A 구역에서는 핵 간 거리가 너무 멀어, 인력.. 2022. 10. 4. [화학] 화학 결합 - DNA의 구조 일반적으로 DNA라는 단어를 들으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생각날 것입니다. 염기가 이중 나선 구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중 나선 구조는 유전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화학적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유전 정보의 손실이 일어난다면, 유전자 염기서열이 잘못 짝을 이루어서 돌연변이가 됩니다. 그렇기에 이중 나선 구조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DNA의 기본 단위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인산, 당 염기가 1:1:1의 비율로 결합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인산-당-염기-염기-당-인산 이렇게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염기와 염기 사이에는 수소 결합을 하는데 어떤 것이 결합하냐에 따라서 수소 결합의 수가 약간 다릅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 2022. 10. 4. [화학] 화학 결합 - 탄소의 동소체 동소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소체 - 성분 원소는 같지만 구조가 달라 성질이 다른 물질 탄소는 주기율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자가 전자가 4개이므로 다른 원자와 최대 4개의 공유결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탄소의 동소체에는 다이아몬드, 흑연, 풀러렌, 탄소 나노 튜브 등이 있습니다. 1. 다이아몬드 결합각이 109.5도를 이루고 있고 탄소 원자 4개와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그물 구조라고 하는데 그물 구조는 모든 원자들이 강하게 결합을 해서 매우 단단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흑연 결합각이 120도로 이루어져 있고 탄소 원자 3개가 공유 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원래는 탄소의 원자가전자가 4개여서 최대 4개가 공유 결합을 이루는데 다이아몬드가 아닌 것들 (흑연이나 뒤에 설명한.. 2022. 10. 4. [화학] 화학의 언어 - 몰 몰(mol)이라는 것은 원자, 분자, 이온 같이 매우 작은 단위를 세는 데 쓰는 단위입니다. 연필 1다스나 계란 1판 같은 묶음 단위입니다. 1몰의 개수는 \( 6.02\times 10^{23} \)개 이고 이것을 아보가드로 수라고 부릅니다. 2몰은 \( 2 \times 6.02\times 10^{23} \) 입니다. 모든 1몰이 \( 6.02\times 10^{23} \) 이므로, 탄소 원자 1몰이나 물 분자 1몰이나 이산화탄소 분자 1몰 모두 \( 6.02\times 10^{23} \) 입니다. 1몰의 질량은 화학식량에 g를 붙이면 됩니다. (화학식 : https://spareone.tistory.com/7) 원자량에 g을 붙이면 원자 1몰의 질량이고 분자량에 g을 붙이면 분자 1몰의 질량이 됩니다... 2022. 10. 4. [화학] 화학의 언어 - 화학식과 화학식량 화학식은, 분자식과 실험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분자식은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들의 개수와 원소기호로 나타낸 식입니다. 실험식은 분자식에서 표현한 원자들의 개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입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포도당 분자식 - \( C_{6}H_{12}O_{6} \) 포도당 실험식 - \( CH_{2}O \) NaCl과 같은 공유결합이 아닌 이온결합을 하는 물질이나 (Na는 금속입니다) Fe같은 금속 물질들은 양이온, 음이온이나 원소가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은 실험식으로만 나타냅니다. (애초에 NaCl은 분자가 아닙니다.) 이제 화학식량입니다. 화학식량은 원자량, 분자량, 실험식량 이렇게 있습니다. 실제 질량값을 가져가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 2022. 10. 4. [화학] 화학의 언어 - 원소, 원자, 분자 과학을 접하게 되면 많이 듣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원소", "원자", "분자" 등... 오늘은 이러한 것들의 정의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물질을 구분하면 이렇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순물질 / 혼합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순물질은 다른 물질이 섞이지 않고 1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물질입니다. 혼합물은 2가지 이상의 순물질을 섞은 것입니다. 순물질은 원소 / 화합물로 나뉘어집니다. 원소와 화합물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소 - 물질을 수정하는 기본적인 요소 화합물 - 두 종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진 순물질 원자와 분자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일단 원자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자 -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 다만, 원소와 원자 이 두 단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이해하기에는.. 2022. 10. 4. [CTF] SuNiNaTaS(써니나타스) 5번 Write-Up | Web 써니나타스 5번 문제풀이 Write Up 입니다. 문제에 접속하면 Check Key Value라는 문장과 함께 텍스트박스가 하나 있습니다. 아무 문자를 입력하고 Check 버튼을 눌러도 별 반응이 없습니다.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를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힌트가 있습니다. 해당 힌트를 입력해도 별 차이는 없습니다. 페이지 소스코드를 더 뜯어보면, 다음과 같은 script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script는 난독화가 되어 있어 읽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난독화를 풀어주는 툴을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난독화를 해제하는 사이트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글에서는 http://dean.edwards.name/unpacker/ 사이트에서 난독화를 해제했습니다. 코드가 좀 더러운데, 정리하면 다음과.. 2022. 10. 2. [CTF] SuNiNaTaS(써니나타스) 4번 Write-Up | Web 써니나타스 4번 문제풀이 Write Up 입니다. 문제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 User-Agent는 접속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것 같고, Plus 버튼을 누르면 포인트가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버튼을 눌러봅니다. 막 눌러댔더니 25까지만 올라가고 26부터는 이상한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F12를 눌러 뭐가 있나 확인해봅니다. 힌트가 하나 보입니다. 포인트를 50으로 만들라네요. 'SuNiNaTaS'라는 힌트도 보입니다. 위에서 본 알림창에서도 같은 글자가 있는 것을 미루어 보면, User-Agent를 SuNiNaTaS로 만들면 되는 것 같습니다. User-Agent를 바꾸는 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브라우저 기능으로 바꿔보겠습니다. Chrome 기반 브라우저 기준 방법입니다... 2022. 10. 2. [CTF] SuNiNaTaS(써니나타스) 3번 Write-Up | Web 써니나타스 3번 문제풀이 Write Up 입니다. 페이지에 접속하면 공지 게시판에 글을 쓰라고 합니다. 이래도 되나 싶긴 하지만... 일단 공지사항으로 들어가봅니다. 당연히 글을 쓸 수 있는 버튼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다른 게시판을 찾아봅니다. 자유게시판으로 들어갔습니다. 여기는 글을 쓸 수 있는 Write 버튼이 있습니다. 일단 이 버튼이라도 눌러봅니다. 여기서 글을 쓸 수 있나 봅니다. 그런데 여기 URL을 자세히 보면, suninatas.com/board/free/write 이런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URL에 있는 free를 notice로 바꿔봅니다. 공지사항에 글을 작성하는 페이지로 이동했습니다. 대충 아무거나 입력하고 SUBMIT를 눌러 봅니다. 이래도 되나 싶지만 한번 눌러봅니다. SUBMI.. 2022. 10. 2. [CTF] SuNiNaTaS(써니나타스) 2번 Write-Up | Web 써니나타스 2번 문제풀이 Write Up 입니다. 페이지에 들어가면 웬 로그인 폼이 하나 있습니다. F12를 눌러 개발자 도구를 열어 소스코드를 살펴보면, 로그인 script와 힌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힌트에서는 join하려면 ID와 PW가 같으면 된다는데, script에서는 값이 똑같으면 join을 막아버립니다. Join 버튼을 누르면 해당 script의 chk_form() 함수가 호출되므로, 해당 함수 호출 없이 submit() 함수를 호출하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대충 같은 값으로 집어넣고... 개발자 도구의 Console 탭으로 가 submit 함수를 실행시키면, flag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 10. 2. 이전 1 ··· 6 7 8 9 10 다음